이제는 집 팔아야 하나, 매각 고려 셀러 많아져
◆ 이제는 팔 때다
‘전국 부동산 중개인 협회’(NAR)가 주택 시장 동향 파악을 위해 분기별로 실시하는 설문 조사에 ‘이제는 집을 팔아야 할 때’라고 판단하는 답변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실시된 조사에서 지금이 주택 처분 시기로 적합하다는 답변 비율은 약 73%로 1분기 조사 때의 약 69%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주택 처분 시기로 적합하다는 답변 중 약 46%는 ‘반드시 팔아야 한다’라고 답했고 나머지 약 27%로 ‘어느 정도 적합’하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집을 팔아야겠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것은 주택 가격 상승폭 둔화와 관계가 있다. 로렌스 윤 NAR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주택 가격 상승폭 둔화가 최근 주택 시장 분위기를 전환시키는 원인”이라며 “가격 상승세 둔화가 지속되면서 큰 폭의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 내 집 장만에도 적합한 시기
주택 처분 시기로 적합하다는 답변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주택 구입 시기로 적합하다는 답변 비율도 여전히 높아 향후 활발한 주택 거래가 예상된다. NAR이 실시한 2분기 설문 조사에서 약 65%의 응답자들이 지금을 내 집 장만에 유리한 시기로 보고 있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전분기 조사 때와 비슷한 응답 비율로 이중 약 38%는 현재가 주택 구입 시기로 적합하다는 생각이 확고했고 약 27%는 어느 정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주택 구입이 적합하지 않다고 믿는 답변은 전 분기와 동일한 약 35%로 조사됐다. 주택 구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주로 현재 주택을 임대 중인 세입자나 대도시 거주자, 밀레니엄 세대에서 많았고 대부분 가파르게 상승한 주택 가격이 주택 구입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의 원인이다.
◆ 지난 1년간 집값 올랐다
지역 주택 가격 변동과 관련된 질문에서는 약 63%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최근 12개월 동안 집값이 오른 것으로 믿는다고 답했다. 1분기 조사 때의 약 61%보다 소폭 오른 비율로 실제로 주택 가격 상승세가 여전히 진행 중인 지역이 많다는 것으로 보여준 조사 결과다. 지난 12 개월간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한 시각은 연령대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밀레니엄 세대부터 가장 연장자 세대인 ‘침묵 세대’(Silent Generation)에 이르기까지 지난 1년 동안 집값이 오른 것으로 생각한다는 답변 비율은 약 61%~약 66%로 비슷 비슷했다.
향후 주택 가격 상승 전망과 관련된 질문에서는 주택 가격이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답변과 상승할 것이라는 답변의 비율이 비슷했다. 2분기 조사에서 앞으로 6개월간 주택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본다는 답변 비율은 약 49%로 1분기 조사 때(약 47%)보다 소폭 상승했다. 6개월 후에도 현재 주택 가격 수준이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 비율은 약 43%로 1분기 조사때와 동일했다. 반대로 주택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비율은 약 8%에 불과, 주택 가격 상승세가 당분간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 모기지 대출받기 힘들 것
현재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응답자 가운데 절반이 넘는 약 55%는 자신의 모기지 대출 자격에 대해 부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도 조사됐다. 대출 자격이 안 될 것이라고 한 응답자 중 약 27%는 모기지 대출받기가 ‘매우 힘들 것’이라고 답했으며 약 28%는 ‘어느 정도 힘들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모기지 대출 자격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현재 처한 소득 수준 등 재정 상황과 연관이 있었다. 연 소득 약 5만 달러 미만인 응답자 중에서는 무려 약 71%가 모기지 대출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반면 연 소득 약 10만 달러가 넘는 응답자 중에서는 상대적을 낮은 약 25%만 모기지 대출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답했다.
◆ 경제 상황 좋아졌다
향후 전반적인 경제 여건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약 55%가 경제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1분기 조사 때 응답 비율인 약 53%보다 상승한 것으로 3분기 만에 긍정적인 경제 전망 비율이 반등했다. 경제가 개선 중이라는 답변 비율은 지난해 3분기 약 60%에서 4분기 약 59%로 하락했고 올해 1분기에는 약 53%로 크게 떨어진 바 있다.
경제에 대해 가장 낙관적인 시각을 보인 그룹은 연 소득 10만 달러 이상으로 농촌 지역 거주자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X 세대 중 경제를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비율은 약 53%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낮았다. 로렌스 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X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재정적인 압박감이 높은 세대”라며 “고령의 부모를 모셔야 하는 한편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감이 높아 여러 세대가 함께 거주할 수 있는 주택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국일보 <준 최 객원 기자>
로맨스가 +100상승하는 LA 인근 로맨틱한 저녁식사는 어디서?
LA의 유명 영화·TV 속 레스토랑 촬영지
LA 사진찍기 좋은 담벼락 찾기
LA에서 최고로 맛있는 햄버거집은 어디일까요?
바베큐 피크닉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소 in LA
미국 비자의 종류와 비자 신청 대상자
미국 부동산 종류와 몇가지의 팁
미국에서 집 구하기 (아파트 렌트,리스,룸메이트,하숙)
LA 인근 추천 여행 명소
LA 최고의 볼링장 7곳을 소개합니다.
'미국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가주-Corona 지역 단독주택 (0) | 2019.06.29 |
---|---|
남가주-Corona 지역 단독주택 (0) | 2019.06.28 |
작은 공간도 좋아…소형 주택 인기 (0) | 2019.06.28 |
남가주-Riverside 지역 단독주택 (0) | 2019.06.27 |
“미주총연 새 출발… 추락한 위상 바로 세울 것” ▶ [인터뷰] 7월13일 취임하는 남문기 신임회장 (0) | 2019.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