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특한 취향과 비효율적인 리모델링은 오히려 주택가격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침실은 없애지 않는게 유리하고
|
일반적으로 집에 돈을 투자하면 가치는 올라간다. 그러나 모든 투자가 다 가치를 올리는 것을 절대 아니다. 오히려 현재 수준보다 못하는 가치로
하락하게 만들 수 도 있다.
홈오너의 독특한 취향대로 구조를 개조하거나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은 돈 낭비요 주택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소가 된다. 리모델링을 할 때 되도록 이면 피해야하는 항목을 소개한다.
-방을 다른 공간으로 개조
주택에 방이 몇
개 있는가는 감정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일정 수준의 건물 면적에서 방은 많을 수 록 가치는 올라간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집안의 남은 공간을 방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많이 하게된다.
또 가족 수 가 많을 때 베드룸도 이에 맞춰서 많이 있다면 그만큼
생활의 편리성을 높여준다.
그러나 현재 가족 수에 비해 방이 많다는 이유로 줄이는 사례가 가끔 있다. 방을 없애고 그 공간을
오피스로 바꾸거나 아니면 운동기구 몇개를 갖다 놓고 실내 헬스장으로 변경하기도 한다.
이 방법은 현재 살고 있는 홈오너한테는 좋은
선택일지 몰라도 앞으로 집을 팔 계획이 있다면 좋은 아이디어는 아니다.
-외부에 욕조 설치
뒷마당이나 데크에 욕조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자쿠지와 연계되는 제품이기는 하지만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홈오너의 개인적인 취향으로 돈을
들여 뒷마당에 설치했다면 투자한 것 만큼의 가치를 인정받기 힘들고 오히려 집 가격을 떨어 뜨릴 수 있다. 이 욕조는 한번 설치하면 다시
해체하기가 만만치 않다.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게되므로 되도록이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요란한 페인트
벽에 이상한
섬유무늬의 벽지를 붙인다거나 집안 내부의 벽과 천정을 홈오너가 좋아하는 색상으로 칠하는 경우가 있다. 홈오너한테는 좋은 선택일지 몰라도 나중에
집을 팔 때 이런 것들이 오히려 감점 요인이 될 수 있다.
심지어 집 외부에도 이상한 형태로 꾸미는 홈오너들이 있는데 집 가격만
떨어 뜨리게 된다.
-어린이 테마 방
아이들을 위해 방 마다 특이한 형태로 꾸민 집들이 있다. 자녀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해주려고 하는 부모중에는 수백 또는 수천달러를 투자해서 어린이 방을 테마파크처럼 만들기도 한다.
페인트를 독특하게
원색적으로 칠하고 천장과 벽을 이상한 무늬로 바꾸면 나중에 바이어가 집을 보러 왔을 때 놀라게 된다.
자녀가 원하는 스타일의 방은
다른 집 아이들도 똑같이 선호한다는 보장이 없다. 아이들은 빠르게 성장한다. 아이들이 당장은 테마파크 스타일의 방을 좋아해도 나이가 들면 싫증을
내게되므로 이런 투자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차라리 그냥 평범하게 놔두는 것이 가치를 보존하는 방법이 된다.
미주 중앙일보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최고로 쓰인 문구 (0) | 2013.12.05 |
---|---|
아니 이럴수가 (0) | 2013.12.03 |
LA인근에는 아직도 싼 집이 많다. (0) | 2013.11.30 |
칭찬의 말은 평생을 간다. (0) | 2013.11.28 |
12월은 기회의 달입니다. (0) | 2013.11.28 |